1. 팀을 팀답게 1) 왜 팀인가? - 개인의 입장에서 팀은 자신의 이상과 역량을 실현하게 되는 발판이며 운동장이다. - 한 개인이 팀 안에서 자신의 역량을 실현하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또한 팀이 조직 내에서의 팀에게 주어진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개인과 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가장 핵심적인 역량이다.
2) 팀이란 무엇인가? - 스포츠 팀과 조직 내의 팀 공통점 ① 동기부여와 계획을 위한 목표 설정 ②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부여와 경고 ③ 훈련과 준비 ④ 협조와 조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⑤ 시너지와 단합을 통한 만족감 상승
3) 팀으로 일하면 언제나 좋을까? - 팀의 장점은 팀 구성원이 지닌 다양한 역량과 정보, 자원을 팀의 자원으로 함께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팀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은 채, 비슷비슷한 사람만 모여 있다면, 혹은 다양한 사람이 모여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시각과 의견이 존중되고 격려되지 않는다면, 개인의 책임을 미루고 팀의 그늘에 숨어 있으려고만 한다면, 팀은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은 일의 방해꾼이 되고 말 것이다.
4) 팀 커뮤니케이션, 균형 유지하기 - 팀으로 일하는 이유는 개인들의 합, 그 이상을 팀은 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 효과적인 팀은 각 개인의 독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 독립적인 시간과 공간을 허락하고 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인정되는 팀이다.
5) 팀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독스 - 하나됨을 강조하는 것보다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받아들일 때에야 비로소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하나됨이 아닌 시너지를 이룰 것이다. - 지금 나와 함께하고 있는 팀 동료에 대한 이해와 애정이 깊어지는 것, 팀 커뮤니케이션의 최종 목적이 될 것이다.
2. 팀 커뮤니케이션의 두 얼굴 1) 팀 커뮤니케이션의 두 얼굴: 드러난, 혹은 숨겨진 -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팀이나 조직 내에서 공유되고 있는 광범위하고 표면적으로 공유된 일관성 있는 메시지가 우선적으로 커뮤니케이션된다. -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팀이 지향하는 목표와 가치, 과제에 대한 개인의 다양한 해석과 입장이 드러나는 장으로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성원의 숨은 생각, 이면을 관찰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다.
2)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위계와 조화의 줄타기 - 팀의 위계는 의사결정의 권한, 업무의 경계와 책임 등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팀의 통제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다. -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리더는 돌려 말하는 간접적인 메시지보다는 직접적이고 분명한 커뮤니케이션으로 팀의 위계에 따른 통제와 조정을 강화함과 동시에, 구성원과 동등한 입장에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는 노력, 즉 리더와 구성원 간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위계와 조화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3)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긴장과 불안, 혼돈과 딜레마의 장 -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관계들이 구축되기도 하고, 기존의 관계가 유지, 소멸되기도 하는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정보, 친밀감 등은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4) 회색지대: 경계가 불분명한 땅 - ‘팀’의 커뮤니케이션을 관찰할 때 공식적이고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구성원의 속마음이 드러나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동시에 관찰하고 비교해야 그 팀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3. 함정에 빠진 팀 1) 일상에서 발견되는 함정 - 구성원의 침묵 - 애매하고 낙관적인 기대 - 갈등에 대한 회피 - 업무 협조와 조정의 어려움 - 비공개적인 미팅의 증가 -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괴리 - 일탈과 소외의 비언어적 메시지
2)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견되는 함정 - 계획을 위한 계획, 반복적인 의사결정의 지연 - 확실성에 대한 강박 - 숨겨진 이슈로 인한 지연
3) 팀워크의 함정 - 일사분란의 함정 - 예의의 함정 - 합의의 함정 - 갈등의 함정 |